본문 바로가기

Auto News

[HMC-KIA Group]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도 친환경성을 인정받다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친환경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현대차에 따르면 싼타페, 아반떼와 기아차의 K5, 뉴쏘렌토R이 국제적인 인증기관인 미국 유엘(UL, Underwriters Laboratiories)로부터 전과정 환경성 평가(LCA)에 대한 환경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현대차그룹은 유럽시장에서 2008년 한국차 최초로 씨드가 독일 TUVNORD(튀브노르트)로부터 전과정 환경성 평가 인증을 획득한 것으로 시작으로 2010년 투싼ix, 스포티지R, 2011년에는 K5와 모닝, 2012년에는 i30, 싼타페, 신형 씨드, K5하이브리드, 뉴쏘렌토R까지 총 16개 차종이 국제 표준에 부합되는 친환경성을 입증받았다. 


이에 따라 현대기아차에 대한 신뢰성 또한 높아졌다. 현대기아차가 인증받은 전과정 환경성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는 제품의 전 과정의 원재료 채취, 제조, 사용 및 폐기 단계의 투입물과 배출물을 정량화해 지구온난화, 자원고갈, 산성화 등의 잠재적인 환경영향에 대해 평가하는 시스템이다. 친환경성을 인증받은 산타페, 아반떼, K5, 뉴쏘렌토R은 전과정 CO2 배출량이 15만 마일 주행 기준으로 기존 모델 대비 5~11% 저감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현대기아차는 신차개발 단계부터 *친환경 체크시트를 통한 자가점검, *설계단계부터 3D도면을 통한 재활용 가능성 검증 *개발과정 중 차량해제를 통한 친환경성 재확인 *친환경 재료 사용 *부품구조 단순화 및 재질 개선을 통한 제조공정 단축 등 친환경 프로세스를 적용해 개발-생산-정비-폐차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이번 인증을 통해 환경을 중시하는 유럽과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 격전지 중 하나인 미국 시장에서 친환경 브랜드로서의 현대기아차의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환경인증을 주관한 UL은 1894년 설립된 단체로 전 세계 100여개국에서 약 9000여명의 전문가들이 산업 전반의 안전관련 규격 및 인증 업무를 수행하는 세계적인 기관으로 현재 UL로부터 각 분야별 인증을 받은 약 200억개 제품이 전세계에서 판매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