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uto News

[HMC] 베이징현대 3공장 45만대 생산체제로 설비 확장 나서

현대차의 중국 합작회사인 베이징현대가 15만대 규모의 생산라인을 증설했다. 베이징기차와의 합작을 통해 2002년 30만대 규모의 1공장, 2008년 30만대 규모의 2공장, 2012년에는 40만대까지 생산이 가능한 3공장을 건설했으며, 이번에 추가로 15만대 생산설비를 갖추기로 결정했다. 추가되는 생산라인은 3공장 라인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베이징현대는 전체 105만대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됐다. 

베이징현대는 매년 판매 기록을 경신해 가며 2012년 11월 누적판매 400만대 달성과 함께 지난해 85만6000대의 판매실적을 달성했으며, 올해에는 3공장 가동을 기반으로 100만대 판매 및 누적판매 500만대 달성이 눈앞에 두고 있다. 

현대차는 베이징현대의 성공 요인으로 우선 정몽구 회장의 품질경영을 들고 있다. 진출 초기 협력사와 동반 진출해 품질을 높혔으며, 본사와의 지리적 인접을 활용해 적시 지원과 점검 및 현대차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도입했기 때문이라는 것. 특히 설영홍 부회장을 중심으로 품질에 무게를 둔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여는 등 품질경영에 매진했기 때문이라는 게 현대차의 분석이다. 

또한 글로벌 현대차의 기술력이 바탕이 된 현지전략 차량도 성공 요인으로 손꼽힌다. 2008년 위에둥의 성공에 이어 2010년 ix35(한국명 투싼ix), 베르나, 2011년 쏘나타 그리고 지난해 출시된 랑동(한국명 아반떼), 산타페까지 3년 연속 출시된 차량들을 현지화시켜 전차종이 동급차종 내 판매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 

마지막으로는 딜러 경쟁력 강화를 통한 고객경영도 포함된다. 베이징현대는 거대한 중국 시장에서 판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딜러의 양적 확대라는 목표를 세우고 지속적으로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현재 810개의 딜러망을 구축했으며, 100만대 판매 체제 구축을 위해 향후 2015년까지 1000개 딜러망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해 딜러 전시 공간 확대 및 고급화를 추진 중이며, 올해까지 450개의 딜러 시설 개선을 통해 서비스망을 확충할 계획이다.